서브상단 글자

융합경영리뷰 검색

HOME     융합경영리뷰     융합경영리뷰 검색

융합경영리뷰(온라인)_2024년 12월호(No.66)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시 : 2024-12-09 10:18
첨부파일 : 파일 다운로드 융합경영리뷰_2024년 12월호_online.pdf

융합경영 리뷰 : ISSN 2671-857X (Print) ISSN 2671-8987 (Online)

휴대폰에서 보기에 편한 미래경영 잡지



2024년을 돌아보며

2024년은 정치, 경제, 기술, 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커다란 변화가 있었던 한 해였습니다.
 

우선, 국제 정치에서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11월에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하며, 그의 정책이 미·중 관계와 글로벌 무역 체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지역의 갈등은 여전히 세계 정세의 주요 이슈로 남아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며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기술 혁신이 두드러졌던 해이기도 했습니다. 생성형 AI와 인공지능 기술이 콘텐츠 제작, 의료,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이끌었으며,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었습니다. 그러나 기술 발전에 따라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사이버 보안 문제가 부각되며 이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졌습니다. AI와 빅데이터는 교육, 헬스케어, 금융 등에서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혁신을 촉진하였습니다.
 

7월 26일부터 8월 11일까지는 100년 만에 파리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대회는 사상 최초로 스타디움이 아닌 센강에서 개막식을 진행하여 각국 선수단이 배를 타고 6km 구간을 행진하는 혁신적인 방식을 선보였습니다. 그러나 개회식에서 한국을 ‘북한’으로 잘못 소개하는 실수가 발생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폭우로 인한 센강의 수질 문제로 철인 3종과 수영 마라톤 선수들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리 올림픽은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대회로 평가받았습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3개, 은메달 9개, 동메달 10개를 따내어 8위를 차지하였습니다.
 

기후 변화는 2024년에도 중요한 글로벌 이슈로 자리 잡았습니다. 각국은 탄소 중립을 목표로 친환경 기술 개발과 정책을 강화하며 ESG 경영을 보편화하였습니다. 특히, 재생에너지와 친환경 교통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였습니다. G7 정상회의에서는 기후 변화 대응과 글로벌 경제 회복에 대한 협력이 논의되었습니다.

기업들은 지속 가능성과 디지털 전환을 동시에 추구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탄소 중립과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와 혁신이 확대되었으며,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화폐의 활용 가능성도 활발히 논의되었습니다. 스마트시티 개발과 친환경 교통 시스템은 도시 재생의 핵심 전략으로 부각되며 주목받았습니다.
 

이렇듯, 2024년은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와 도전이 이어진 해였습니다. 변화 속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비전이 구체화되었으며, 혁신과 협력이 중요한 화두로 다뤄졌습니다. 다가오는 2025년에는 더 많은 기회와 도전이 기다리고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전글 융합경영리뷰(온라인)_2024년 11월호(No.65)
다음글 융합경영리뷰(온라인)_2025년 1월호(No.67)
목록